유투브에서 관련 영상을 자주 본다.
증상이 심했을 때는 이런 기분도 들지 않았으나,
이제는 겨우 몸을 일으키고 뭔가 해보려한다.
처음 겪는 일이라그래. 다 괜찮아질거야.
미국에서 한국에 돌아올 때
홈스테이 머물렀던 가족이 포옹하며 해준 말.
Everything is gonna be fine.
[우울증의 모든 것] by 김병수 원장님
1. 생리적 지표 (증상)
1) 잠 (적게/많이)
2) 식욕,성욕 등의 활력(에너지,말수,행동,초조,예민,과활동)
2. 정서 반응의 지표 : 표정 굳기, 말수 적어짐, 재미&흥미 감소
3. * 비정형 우울증 (atypical depression)
1) 식욕 증가/ 체중 증가
2) 과다 수면
3) * 납 마비: 몸이 무겁다. 스펀지가 물이 먹은 듯 축 늘어지고 무겁다. 꼼짝하고 싶지 않다.
4) 거절에 대한 민감성: 대인관계 예민성, 호의적이지 않거나 반응이 적으면 넘어가지 않는다.
오해를 하거나 과도하게 생각, 쉽게 상처, 관계가 불안정,
스트레스 인자들이 비정형 우울증을 촉발
4. 사회적 관계
우울증이 심해지면, 회피 행동 -> 사회적 철수
: 에너지도 없고, 개방성이 줄어든다.
모든 자극으로부터 스스로를 철회하려는 경향.
5. 자살 사고 (우울증의 진단 기준, 심각도)
반복/ 구체적인 자살 사고
무가치, 자존감 저하, 삶의 무의미
6. 경증/중증 판단 기준
1) 공식적으로는 심각도의 갯수
2) 내가 생활에서 얼마나 변화가 생겼는지
- 경도: 출근을 힘들게 하고, 집안일도 무기력하게 한다.
- 중증도: 일상과 직업 기능에 유의미한 변화, 당일 결근, 조퇴, 퇴사에 대한 생각, 집안일을 미룬다.
- 심각: 일상 생활이 어렵다. -> 입원, 적극적 치료, 위험 요인 내포
7. 마음의 감기?라고 가볍게 표현은 하지만, 심각함
- 자살 환자의 40~50%
- 사회/경제적 비용의 손실
- 개인에게도 치명적: 학업, 이직/퇴직 -> 경력 단절, 불화의 원인
8. 우울증이 공황장애, 불안장애로 발생할 수 있는가
- 다른 질환의 원인 (유발시키기도) 또는 결과 (악화시키기도)
- 우울증이 다른 질환들과 공존 (공황장애 50%는 우울증을 동반, 우울증 20~30%는 공황장애를 동반)
- 알콜 문제, 가성 치매(인지 기능이나 기억력 저하), 불면, 불안, 약물 남용
- 내과 질환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회복 이후에 우울증이 동반할 가능성이 높음
- 만성 통증 (허리 디스크)
9. 기질적인 원인이 있는가
1) 유전적인 요인 (가족력)
2) 기질적인 요인
- 신경증적인 기질(neuroticism):
변화에 스트레스를 자주 받고, 자신감이 저하되고, 정서 반응이 과민하고, 사소한 일에도 감정 반응이 나타남
3) 특정 성격 (과도한 완벽주의적, 자기비난이 강하다) : 단일한 원인은 아님
10. 여자 환자수가 두배에서 세배 정도 많음
1) 생물학적 요인 : 여성 호르몬의 변화, 정서가 불안정, 우울증에 취약,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이 기분 조절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감정의 변동성, 감정 변화의 취약성,
2) 심리적인 요인 : 자기 비난, 반추의 특징
반추는 생각을 곱씹음, 생각의 되새김질, -> 자기 비난으로 이어짐
* 우울 반추 (depressive rumination) -> 생각 습관을 고쳐야 함
3) 사회/문화적인 환경 : 관계, 정서 중심적임
대인 관계 스트레스나, 내 일이 아닌데 도와주거나, 관계가 틀어질 때 상처를 받음
집단 주의가 강한 문화에서는 이런 성격이 스트레스에 취약
11. 반추를 끊어내는 노력 (중요함)
우울증이 촉발되는 원인
1) 반추라는 것을 알아차리기, 멈추기
- 곱씹으면, 해결책을 찾을 것 같은 착각
- 답도 없는 생각을 반복하는 생각으로 빠져들게 됨
2) 기분 전환 행동으로 옮겨가기
- 적극적으로 사고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음악, 영화, 정리정돈)
- 적극적으로 다른 사고를 끌어당기기 (좋은 추억, 긍정적인 추억)
12. 스스로 극복 가능한가
1) 전조 단계나 경도는 가능하나, 그 이상은 적극적인 치료 필요
2) 자기 관리로 가능할 수도, 적극적으로 활동성을 늘려나가기, 행동을 활성화한다.
예: 운동, 사람 만나서 대화, 산책,
비활동성(inactivity)이 우울증의 원인이고 악화시킨다, 휴식이 아니다.
13. 운동이 아니더라도, 집에서 움직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치료될 때, 제일 먼저 하는 행동은 정리정돈을 많이함
예방하기 위해서도 집에서 불필요한걸 정리하거나, 화초에 물을 주거나, 옷을 정리하거나,
14. 빠른 치료가 효과가 좋을까
마음의 상처, 좌절감, 성격이 원래 그런걸로 오랫동안 방치한다면,
약을 먹고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 속도가 더디다.
15. 약물 치료는 어느 단계부터
중증도 이상은 약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함.
다만, 경도나 경도 이하의 우울증은 심리상담/운동/자기관리로 극복하는걸 선택할 수도 있음.
약물 치료가 필수는 아니나, 선호에 따라서 선택 가능.
16. 약을 먹었을 때 효과가 언제부터, 어느 정도,
항우울제(Serotonin, Dopamine, Norepinephrine)는 먹고 바로 기분이 좋아지지는 않는다.
* 관해 (remission)
우울증은 재발성 질환
'Private property > disor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황장애(panic disorder)_22 1014 (0) | 2022.10.15 |
---|---|
공황장애(panic disorder)_22 1008 (0) | 2022.10.09 |
공황장애(panic disorder)_22 1003 (0) | 2022.10.03 |
공황장애(panic disorder)_22 0927 (0) | 2022.09.28 |
공황장애(panic disorder)_22 0925 (0) | 2022.09.25 |